반응형
서울형 가사서비스란?
서울형 가사서비스는 가사 부담이 높은 가정을 위해 가사도우미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이다. 이용자는 바우처를 지급받아 가사서비스 업체에서 청소, 설거지, 세탁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.
✅ 지원 내용
- 가구당 연 70만 원 상당 바우처 지급
- 신용카드·체크카드 형태로 제공
- 서울시 지정 가사서비스 업체(32개 업체)에서 사용 가능
지원 대상
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서울 거주 가정이 신청할 수 있다.
지원유형 | 지원조건 |
임산부 가구 | 임신 3개월~출산 후 1년 이내 가구 |
맞벌이 가구 | 부부가 모두 주 20시간 이상 근로하면서 12세 이하 자녀(2012.1.1 이후 출생) 양육 |
다자녀 가구 | 18세 이하 자녀(2006.1.1 이후 출생) 2명 이상 보유, 단 12세 이하 자녀 1명 이상 필수 |
소득 기준 | 중위소득 180% 이하 (예: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10,976,000원 이하) |
📌 중위소득 180% 이하 기준 (2025년 기준)
가구원수월 소득 기준
가구원수 | 월소득 |
2인 가구 | 7,079,000원 |
3인 가구 | 9,046,000원 |
4인 가구 | 10,976,000원 |
5인 가구 | 12,795,000원 |
6인 가구 | 14,517,000원 |
📌 건강보험료 기준 확인 필요
건강보험 직장가입자, 지역가입자 여부에 따라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을 기준으로 지원 여부가 결정된다.
신청 방법 및 절차
서울형 가사서비스는 **서울맘케어(www.seoulmomcare.com)**를 통해 온라인 신청할 수 있다.
✅ 신청 기간
- 2025년 1월 20일(월) 09:00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
✅ 신청 절차
- 서울맘케어 접속 후 신청서 작성
- 자격 확인 (동주민센터에서 건강보험료 등 확인)
- 바우처 카드 지급 (신용카드·체크카드 형태로 지급)
- 서비스 이용 (가사서비스 업체 선택 후 결제)
📌 필요 제출서류
모든 서류는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본을 원칙으로 한다.
지원 유형제출 서류
지원유형 | 제출서류 |
임산부 가구 | 임신사실 확인서(진단서) 또는 주민등록등본 |
맞벌이 가구 |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, 사업자등록증(자영업자), 급여명세서 등 |
다자녀 가구 |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|
📌 서류 제출 시 주의사항
- 서류 미제출 또는 부적정 제출 시 신청이 취소될 수 있음
- 허위 제출 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
바우처 사용 방법
- **서울형 가사서비스 제공 업체(32개 업체)**에서만 사용 가능
- 가사서비스 업체 선택 후 바우처 카드로 결제
-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
-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이월되지 않고 소멸
📌 이용 가능한 서비스 종류
- 거실, 주방, 화장실, 침실 청소
- 설거지 및 세탁
- 쓰레기 배출
주의사항 및 환수 조치
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서비스 지원이 중단되거나 환수 조치될 수 있다.
부적격 사례환수 조치 기준
부적격사례 | 환수조치기준 |
지원 자격 미충족 | 신청 자격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|
서류 미제출 또는 허위 제출 | 증빙서류 누락 또는 허위 제출 시 |
서울 외 지역 거주 | 신청 후 타 지역으로 이사하는 경우 |
카드 부정 사용 | 타인에게 양도·대여한 경우 |
지원 목적 외 사용 | 가사서비스가 아닌 용도로 결제한 경우 |
📌 유사 서비스 중복 지원 불가
- 자치구 임산부 가사지원서비스, 한부모 가사지원서비스 등 다른 유사 서비스와 중복 수혜 불가
서울형 가사서비스, 꼭 신청하세요!
서울형 가사서비스는 가사 부담을 덜고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다.
신청 대상에 해당된다면, 2025년 1월 20일 오전 9시부터 빠르게 신청하여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하자.
📌 신청 및 상세 안내
- 신청 홈페이지: 서울맘케어
- 문의: 거주지 관할 동주민센터
- 첨부파일 : 신청공고문
2025년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안내 공고문.hwpx
0.12MB
'세상의 모든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장애인복지카드 신청 총정리! 놓치면 손해 보는 혜택과 꿀팁 (0) | 2025.02.04 |
---|---|
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과 수령액 늘리는 팁 (0) | 2025.02.04 |
노인 연령 상향, 무엇을 의미하며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? (0) | 2025.02.03 |
2025 전기차 보조금 지원 알아보기 (0) | 2025.02.03 |
한부모여성 창업대출지원사업 소개 (0) | 2025.02.03 |